오늘은 기막힌 뉴스가 있어 왜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상황을 공유하고, 방지책에 대해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목차
- 사건 개요: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집 구하다 당한 임대 사기
- 어떻게 이런 사기가 가능했을까?
- 피해자는 어떻게 대응했나
- 중고거래앱 부동산 사기 유형 정리
- 임대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 부동산 사기 예방을 위한 꿀팁
- 마무리: 싸다고 덥석 계약? 확인이 먼저입니다!
1. 사건 개요: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집 구하다 당한 임대 사기
2025년 6월, 광주에서 충격적인 부동산 사기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사할 집을 급히 찾던 장 씨 부부는 중고거래 앱에서 시세보다 저렴한 전세/월세 매물을 발견하고 연락했습니다.
가짜 집주인은 다른 지역에 있다며 출입문 비밀번호를 알려주고, 전자 계약을 유도했습니다.
결국 보증금과 월세 약 2,055만 원을 송금하고 이사까지 마쳤지만, 이후 진짜 집주인과 연락이 닿으면서 모든 것이 사기였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2. 어떻게 이런 사기가 가능했을까?
사기범은 매물의 등기부등본 정보를 도용해 위조된 신분증을 만들고, 실존하지 않는 가짜 공인중개사를 사칭해 계약을 진행했습니다. 더 놀라운 점은 출입문 비밀번호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 공실 상태인 점을 노리고 범행이 이뤄진 것으로 보이며, 경찰은 비밀번호 유출 경로를 수사 중입니다.
3. 피해자는 어떻게 대응했나?
장 씨 부부는 이사 직후 가스 문제로 연락을 시도했으나 전화가 두절. 관리사무소를 통해 실제 집주인과 연락하면서 사기를 당한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다행히 이후 정식 임대 계약을 체결해 거주를 이어가고 있지만, 정신적·금전적 피해는 크며, 피해자 본인은 매달 치료비만 수백만 원이 드는 상황이라 더욱 심각합니다.
4. 중고거래앱 부동산 사기 유형 정리
위조 신분증 사용 | 실제 소유자의 정보로 만든 가짜 신분증 |
비대면 전자 계약 유도 | 허위 공인중개사 또는 앱 통해 계약 진행 |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 제시 | 빠른 결정 유도 |
출입문 비밀번호 제공 | 실제 거주 가능한 상태처럼 연출 |
가짜 서류 조작 | 등기부등본, 전입세대 열람표 등 위조 |
5. 임대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 실제 소유자와 통화 또는 대면 필수
- 등기부등본 상 소유주와 신분증 대조 확인
- 공인중개사 등록번호·사무소 확인
- 전자계약은 반드시 국토교통부 플랫폼 이용
- 전입신고·확정일자 확보로 법적 보호
6. 부동산 사기 예방을 위한 꿀팁
- 중고거래 앱에서 부동산 매물은 매우 조심
- 지나치게 저렴한 매물은 반드시 의심
- 계약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 확인 (정부24 또는 인터넷등기소)
- 공실 상태라도 실제 열쇠 인수 전 계약 금지
- 계약금·보증금 송금 시 공인중개사 명의 계좌 확인
7. 마무리: 싸다고 덥석 계약? 확인이 먼저입니다!
이번 광주 중고거래앱 부동산 사기 사건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현실적인 사기 수법입니다.
특히 임대 수요가 급한 6~8월 이사철에는 이런 피해가 증가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싸게 나왔으니 빨리 계약해야 한다"는 조급함보다 확인, 확인, 또 확인!
계약 전에 반드시 소유자와 직접 소통하고 공인된 경로로 거래하셔야 안전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